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ISA 계좌 신청하기, 국민·신한·미래에셋 어디가 유리할까?

by 머꿀남 2025. 7. 18.
반응형

2025년 기준 ISA 계좌 신청하기를 위한 주요 금융기관별 세부 비교표입니다. 은행과 증권사 유형별로 수수료, 상품 구성, 비대면 가능 여부 등을 정리했어요.

📊 ISA 계좌 세부 비교표 (2025년 기준)

기관 유형 금융사 ISA
유형
운용 수수료/관리비 상품 구성 비대면 개설 주요 추천대상
은행형
(안정형)
KB국민은행 일임형
신탁형
0.1%~0.3% 연간 예·적금 중심, 펀드 포함 가능 원금보장 + 낮은 비용 선호자
신한은행 일임형
신탁형
비슷한 수준 펀드·절세형 자산관리 상품 가능 중위험·절세 동시에 원하는 분
우리은행 일임형
신탁형
낮음 적립식 상품 및 컨설팅 강점 가능 장기 적립형을 선호하는 분
하나·NH농협 일임형
신탁형
낮음 다양한 포트폴리오 구성 가능 다양한 상품 구성 희망자
증권사형
(공격형)
미래에셋증권 중개형 0.0036% 우대 주식·글로벌 ETF 특화 앱에서 가능 적극적 투자자, 글로벌 ETF 관심
삼성증권 중개형 보통, 온라인 계좌 기준 낮음 국내·글로벌 ETF, 펀드 가능 초보~중급 균형 투자자
키움증권 중개형 가장 저렴한 수수료 소액 투자 + 쉬운 인터페이스 가능 온라인 투자자, 수수료 민감자
한국투자증권 중개형 보통 맞춤형 자산배분, 리워드 제공 가능 장기 포트폴리오 구성 희망자

 

✅ 핵심 비교 포인트 정리

1. 수수료

  • 은행형: 연 0.1% ~ 0.3% 수준으로 관리비가 낮은 편 
  • 증권사형: 미래에셋은 직접 계좌 기준 0.0036%로 매우 낮음
    – 다만 주식·ETF 매매 시 거래 수수료 발생 가능

2. 상품 구성

  • 은행형은 예·적금 중심, 안정성을 중시하며 일부 펀드 포함
  • 증권사형은 주식, 국내외 ETF, 펀드, 채권 등 적극적인 투자 상품 제공 

3. 비대면 개설 여부

  • 대부분 은행 및 증권사 앱이나 인터넷으로 비대면 가입 가능

4. 추천 대상

  • 안정성 중시: 은행형 (KB국민, 신한, 우리 등)
  • 절세+적립형: 신한·NH농협(서민형)
  • 공격적/ETF 중심: 증권사형(미래에셋, 키움)

 

📌 활용 팁

  • 절세효과 우선이라면 ‘서민형 ISA’ 선택: 비과세 한도 400만 원 유지 가능
  • 첫 시작이라면 수수료 낮고 관리 쉬운 KB국민·신한은행이 좋습니다.
  • 적극적 투자자라면 미래에셋·키움증권 중개형 계좌로 글로벌 ETF 또는 주식 운용 가능.
반응형